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실 기반 스릴러 vs 추상적 심리 스릴러 (히가시노 게이고 중심)

by happy stella 2025. 10. 14.
반응형

 

 

 

스릴러 장르는 크게 현실 기반 스릴러추상적 심리 스릴러로 나뉜다. 현실 기반 스릴러는 사건의 리얼리티와 사회적 배경을 강조하는 반면, 추상적 심리 스릴러는 인간 내면의 감정과 의식의 흐름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 두 장르를 절묘하게 넘나들며, 논리적 추리와 감정적 서스펜스를 결합한 독창적인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 이번 글에서는 현실 기반 스릴러와 추상적 심리 스릴러의 차이를 분석하고, 히가시노 게이고가 어떻게 두 요소를 조화시켰는지 살펴본다.

 

 

 

현실 기반 스릴러: 사건과 사회의 리얼리티로 구축된 서스펜스

현실 기반 스릴러는 사회적 현실을 바탕으로 한 범죄와 인간 군상을 그린다. 한국 작가 정유정, 장강명, 일본 작가 요코야마 히데오 등이 대표적이다. 이 유형의 스릴러는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을 중심으로, 사회 구조와 인간의 욕망, 그리고 제도적 한계를 날카롭게 묘사한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 중에서도 《방황하는 칼날》은 현실 기반 스릴러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 소설은 딸을 잃은 한 아버지가 법의 한계를 뛰어넘어 스스로 복수를 감행하는 과정을 다룬다. 작품은 단순한 범죄 복수극이 아니라, '정의와 복수의 경계'를 통해 사회제도의 무력함과 피해자 가족의 심리적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히가시노는 법과 정의의 충돌을 통해 사회 제도의 모순을 드러내며, 독자로 하여금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

그는 현실적 디테일을 통해 독자가 ‘이 일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다’는 감각을 느끼게 한다. 폭력적인 장면보다 인물의 감정, 사회의 냉정함, 제도의 허점을 통해 긴장감을 만든다. 이처럼 그의 현실 기반 스릴러는 사건의 자극성이 아닌 인간의 윤리적 갈등에서 서스펜스를 도출한다.

 

《한여름의 방정식》에서도 과학적 논리 속에서 인간의 죄의식과 가족 간 이해를 다루며, 현실의 문제를 사유의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히가시노의 현실적 서사는 ‘사건’보다 ‘사람’을 중심에 두는 것이 특징이며, 그의 리얼리즘은 인간의 선택이 만들어내는 윤리적 긴장감으로 완성된다.

 

 

 

추상적 심리 스릴러: 내면의 긴장감으로 구축된 감정의 미로

추상적 심리 스릴러는 인물의 내면, 감정, 무의식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장르의 핵심은 범죄보다 인간의 마음속에서 벌어지는 심리적 전투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 영역에서도 탁월한 성취를 보였다.

 

대표작 《백야행》은 살인사건이라는 외적 사건보다 주인공 료지와 유키호의 내면적 연결에 초점을 맞춘다. 그들의 관계는 사랑인지, 공범의식인지, 아니면 죄의식의 연대인지 명확하지 않다. 히가시노는 이 모호함 속에서 독자가 스스로 해석하도록 유도하며, 감정의 긴장감이 곧 서스펜스가 되는 구조를 완성했다. 범죄의 정답보다 감정의 여백을 남기는 서사 방식이다.

 

또 다른 예인 《용의자 X의 헌신》에서도 범죄는 초반에 이미 드러난다. 그러나 독자는 끝까지 ‘왜 이시가미는 그토록 헌신했는가’를 추적하며 그의 감정의 심층 구조 속으로 빠져든다. 히가시노의 심리 스릴러는 반전보다 ‘감정의 농도’로 긴장을 만든다. 그는 독자가 범죄의 진실을 찾기보다 인물의 감정이 어디로 향하는지를 쫓게 만든다.

 

이러한 심리적 서스펜스는 추상적이지만, 감정의 리얼리티는 오히려 현실보다 강렬하다. 히가시노는 인간의 마음속 어둠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침묵, 시선, 행동의 미묘한 변주를 통해 보여준다. 이 절제된 표현 방식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심리적 긴장감의 예술’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스릴러는 폭발적인 감정보다 억눌린 감정 속에서 공포와 슬픔을 만들어낸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통합적 미학: 논리와 감정의 교차점

히가시노 게이고의 스릴러는 현실과 추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 든다. 그는 사건의 리얼리티와 감정의 추상성을 결합해 논리와 심리의 조화로운 서사 구조를 완성했다.

 

《악의》에서는 범죄 동기의 논리적 추리와 함께 질투, 인정욕구, 인간의 내면 어둠이 정교하게 얽힌다. 이 작품은 현실적 사건(살인)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심리적 갈등이 주도하는 이중 구조를 지닌다.

 

히가시노는 과학자 출신답게 플롯의 논리성을 중시하지만, 동시에 인간의 감정이 그 논리를 무너뜨리는 순간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그의 작품에서는 언제나 이성과 감정이 긴장 관계를 형성하며, 이 균형이 독자에게 독특한 몰입감을 제공한다.

 

《라플라스의 마녀》에서는 과학적 논리와 인간의 윤리가 충돌하고,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에서는 시간과 감정의 연결을 통해 인간의 구원을 그려낸다. 이런 상반된 요소의 조화는 히가시노 스릴러의 본질적 매력이다.

 

히가시노는 현실 기반 스릴러의 구체성을 통해 독자가 사회를 성찰하게 만들고, 추상적 심리 스릴러의 감정성을 통해 인간 본연의 불안과 모순을 탐구한다. 그의 문학은 결국 “논리로 인간을 해석하려는 시도이자, 감정으로 인간을 이해하려는 여정”이다.

 

이 통합적 미학이 바로 히가시노 스릴러의 정체성이다. 그는 사건을 통해 감정을 탐구하고, 감정을 통해 진실을 드러낸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이성적이면서도 감성적이고, 현실적이면서도 초월적인 긴장감을 동시에 품는다.

 

 

 

 

현실 기반 스릴러가 사회의 거울이라면, 추상적 심리 스릴러는 인간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이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사건의 리얼리티와 감정의 추상성을 융합해 논리와 감정이 충돌하는 순간 진정한 서스펜스를 완성한다. 그의 작품은 범죄의 진실보다 인간의 감정을 중심에 두며,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인간 마음의 미스터리를 탐구한다.

히가시노 스릴러의 본질은 결국 “현실 속에서 발견한 인간의 추상성”, 즉,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인간 마음의 미스터리에 있다.

반응형